로스팅 강도에 따른 차이점
커피 원두의 로스팅은 커피의 맛과 향에 큰 영향을 미치며, 로스팅의 강도에 따라 커피의 특징이 크게 달라집니다. 로스팅 과정에서 원두의 색깔이 변화하고, 원두 내의 성분들이 화학적으로 변하면서 다양한 맛과 향이 생성됩니다. 로스팅의 차이를 이해하면 자신에게 맞는 원두를 선택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
1. 라이트 로스트 (Light Roast)
- 색상: 밝은 갈색
- 맛의 특징: 라이트 로스트 원두는 원두 본연의 특성을 가장 잘 보존합니다. 신맛(산미)이 강하며, 과일향이나 꽃향 같은 밝고 가벼운 향이 두드러집니다. 커피의 산지 특성이 잘 드러나며, 일반적으로 쓴맛이 거의 없습니다.
2. 미디엄 로스트 (Medium Roast)
- 색상: 중간 갈색
- 맛의 특징: 라이트 로스트와 다크 로스트의 중간 정도로, 원두의 본래 맛과 로스팅 과정에서 생성된 캐러멜화된 단맛이 균형을 이룹니다. 산미는 라이트 로스트보다 줄어들고, 바디감(질감)이 좀 더 풍부해집니다. 초콜릿, 견과류, 캐러멜 같은 풍미가 나타날 수 있습니다.
3. 미디엄 다크 로스트 (Medium-Dark Roast)
- 색상: 진한 갈색
- 맛의 특징: 로스팅의 영향이 더 강해져서 원두의 본래 맛보다는 로스팅 특유의 맛이 두드러집니다. 단맛이 더 강해지고, 약간의 쓴맛과 스모키한 풍미가 느껴질 수 있습니다. 바디감이 더 무겁고, 강한 맛을 선호하는 사람들에게 적합합니다.
4. 다크 로스트 (Dark Roast)
- 색상: 거의 검정에 가까운 아주 진한 갈색
- 맛의 특징: 원두 표면에 오일이 배어나올 정도로 강하게 로스팅된 상태로, 원두의 본래 특성보다는 로스팅의 쓴맛과 스모키한 향이 강하게 나타납니다. 산미는 거의 없고, 쓴맛과 함께 약간의 단맛이 느껴집니다. 초콜릿, 탄맛, 캐러멜, 스모키한 맛이 두드러집니다.
5. 로스팅 과정의 주요 포인트
- 첫 번째 크랙 (First Crack): 원두 내부의 수분이 증발하며 팝콘 터지듯이 터지는 시점입니다. 이 시점에서 라이트 로스트가 이루어집니다.
- 두 번째 크랙 (Second Crack): 원두의 섬유질이 파괴되며 터지는 시점으로, 이 시점 이후가 다크 로스트에 해당됩니다. 이 시점부터 원두 표면에 오일이 나타나기 시작합니다.
6. 로스팅 강도 선택하기
- 산미를 좋아하는 경우: 라이트 로스트나 미디엄 로스트 원두를 선택하는 것이 좋습니다. 커피의 신선하고 밝은 특성을 즐길 수 있습니다.
- 밸런스를 선호하는 경우: 미디엄 로스트가 적합합니다. 단맛과 산미, 바디감이 균형을 이루며, 부드럽고 풍부한 맛을 즐길 수 있습니다.
- 쓴맛과 깊은 풍미를 좋아하는 경우: 미디엄 다크 로스트나 다크 로스트가 적합합니다. 깊고 무거운 맛을 선호하는 사람에게 적합합니다.
로스팅 강도에 따른 차이를 이해하고, 다양한 로스팅 원두를 시도해보면서 본인의 취향에 맞는 커피를 찾아가는 과정이 중요합니다.
하리오 V60 레시피
테츠 카츠야(Tetsu Kasuya)는 2016년 월드 브루어스 컵(World Brewers Cup)에서 우승한 일본의 커피 전문가로, 그의 핸드드립 방식은 많은 커피 애호가들 사이에서 유명해졌습니다. 특히, 하리오 V60 드리퍼를 사용한 테츠 카츠야의 레시피는 "4:6 메소드"로 불리며, 커피의 산미와 단맛을 조절하는 독특한 추출 방법입니다.
테츠 카츠야의 4:6 메소드 개요
- 목표: 이 방법은 물을 나누어 붓는 방식으로, 커피의 산미와 단맛을 조절합니다. 4:6 메소드에서 "4"는 전체 물의 40%를 의미하며, 이 부분에서 산미를 조절합니다. "6"은 나머지 60%를 의미하며, 이 부분에서 단맛과 바디감을 조절합니다.
필요 도구 및 재료
- 하리오 V60 드리퍼
- 종이 필터
- 커피 그라인더: 중간 굵기로 분쇄 (설탕 입자 크기)
- 저울
- 타이머
- 구스넥 주전자: 정밀한 물 조절이 가능한 주전자
- 원두: 20g (추출 비율 1:15, 즉 20g의 원두에 300ml의 물을 사용)
4:6 메소드 레시피
1. 원두 분쇄: 20g의 커피 원두를 중간 굵기로 분쇄합니다. 일반적으로 드립 커피용으로 사용하는 중간 정도의 분쇄 크기입니다.
2. 드리퍼 준비: 하리오 V60 드리퍼에 종이 필터를 넣고, 필터를 적시기 위해 뜨거운 물을 부어 드리퍼와 서버를 예열합니다. 물은 버리고, 준비된 분쇄 커피를 필터에 넣습니다.
3. 물 온도: 약 92~96°C의 물을 준비합니다. 이 온도는 대부분의 드립 커피 추출에 적합합니다.
4. 첫 번째 주입 (40% 물):
- 물 60ml(전체 물의 20%)를 커피 위에 부어줍니다.
- 30초 동안 블루밍(가스를 방출하며 커피 가루가 팽창하는 과정)을 진행합니다.
- 이후 물 60ml(전체 물의 20%)를 추가로 부어줍니다. 이 단계에서 커피의 산미를 결정짓습니다.
- 첫 번째 주입이 끝나면 1분이 경과되어야 합니다.
5. 두 번째 주입 (60% 물):
- 남은 180ml의 물을 3번에 나누어 부어줍니다. 각각의 주입마다 약 60ml의 물을 부으며, 각 주입 사이에 약간의 시간을 둡니다.
- 이 단계에서 커피의 단맛과 바디감을 조절합니다.
6. 총 추출 시간: 2분 30초에서 3분 30초 사이에 추출이 완료되도록 합니다.
결과 및 맛 조절
- 산미를 강조하고 싶다면: 첫 번째 주입에서 더 많은 물을 사용하거나, 첫 주입 후 물을 부을 때 시간을 줄이는 방식으로 산미를 더 강조할 수 있습니다.
- 단맛을 강조하고 싶다면: 두 번째 주입에서 물을 천천히 부어줌으로써 커피의 단맛과 바디감을 더 끌어낼 수 있습니다.
테츠 카츠야의 4:6 메소드는 간단하면서도 강력한 핸드드립 방법으로, 산미와 단맛의 균형을 맞추는 데 매우 유용합니다. 이 방법을 사용해 커피를 추출하면서 자신만의 변형을 시도해보는 것도 좋은 경험이 될 것입니다.